안녕하세요 내 생활의 이야기입니다.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대략 6개월에 한 번 꼴로 포멧을 하게 되더군요. 저만 그런가요? 시기야 어쨋든 너무 느려지거나 문제가 생겼을 때 가장 확실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OS 재설치입니다.
꼼꼼하시거나 윈도우 재설치 메뉴얼을 숙지하고 계신 분들은 이런 실수를 하지 않겠지만, 간혹가다(저 포함) 랜카드 드라이버 설치를 잊어 먹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참 난감하죠.
인터넷이 되어야 다른 모든 드라이버들과 필수 어플들을 새로 설치할 수 있는데 말입니다.
아마 지금 이 글을 보시고 계신 분 중에 분명히 위와같은 상황인 분들이 계실거에요. 스마트폰으로 글을 보시고 계시겠죠? 이런 분들을 위해서 아래쪽에 스마트폰으로 랜카드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는 팁을 올려두었으니 끝까지 봐주세요.
여러분들은 랜카드 드라이버 어떻게 설치하시나요? 컴퓨터를 분해한 후 랜카드 제조사를 알아보고 해당 회사 다운로드 센터에서 다운받으시나요? 저도 예전에는 이런 방식으로 다운/설치를 했었지요. 자동으로 내 컴퓨터의 랜카드를 읽어 최신(최적)의 드라이버를 설치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가 있답니다.
3dp net이라는 어플이에요. 어플이름에 net이 붙어서 오해할 수 있는데요. 정확한 주소는 3dpchip.com 입니다. 이 어플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방법이 두개나 됩니다. 네이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방법과 3dp net 공식홈페이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어요. 아무거나 편한대로 받으시면 됩니다.
저는 일단 공식홈페이지를 방문해 봤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은 모양입니다. 심플하죠? 상단메뉴에서 3dp net을 선택한 후 최신 버전 다운로드를 해주시면 됩니다. 나중에 랜카드 설치 후 3dp chip도 다운 받으셔서 다른 드라이버도 설치해 주세요.
최신 버전 다운로드를 누르면 이런 새 창이 뜹니다. 페이지가 너무 간결해서 약간 어리둥절할 수도 있지만, 그냥 그러려니 하세요.
다시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그냥 네이버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여러분은 그냥 네이버에서 다운로드 받으세요. 결국은 같은 곳을 링크시켜 두었네요.
저는 바탕화면에 우선 받아두었습니다. 아이콘 모양이 요런 모양이에요. 3dp가 인기가 있다보니 예전에는 이상한 가짜 파일들이 많았답니다. 혹시 모르니 이 아이콘 모양 기억해 두세요.
더블클릭으로 설치를 시작하면 C:\3dp에 설치가 됩니다. 기본이죠. 경로 이대로 그냥 두시고 설치하시면 됩니다.
설치를 모두 마치면 요런 프로그램이 떠요. 사실 지금까지 랜카드 드라이버를 설치한게 아니랍니다. 3dp net을 설치한 것이죠. 이제부터 랜카드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됩니다.
첫 화면에 내게 맞는 랜카드 드라이버가 나옵니다. 해당 드라이버 그냥 설치하시면 이제부터 인터넷이 될거에요. 이 후의 진행은 클릭 클릭으로 진행이 되니 따로 드라이버 설치 방법을 적지는 않을께요.
지금 컴퓨터의 인터넷이 안되어 아무것도 못하시는 분들이 계실거라고 했는데요. 컴퓨터마다 조금씩 다를테지만 인터넷은 안되어도 와이파이는 되실거에요. 스마트폰의 테더링을 이용해서 컴퓨터로 인터넷 접속을 해주세요. 그리고 이 포스팅에 안내된 대로 랜카드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된답니다.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으니 랜카드는 못잡아도 와이파이는 잡힌답니다. 너무 구형의 컴퓨터의 경우는 이 방법이 통하지 않으니 테더링으로 연결이 안될 경우 가까운 PC방에서 3dp net 만 usb에 담아와서 설치를 하시면 됩니다.
인코딩 연습삼아 3dp net 다운로드 및 설치하는거 영상으로 남겨 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