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_뜻과_유래32 케미 뜻 알고 사용하나요 그 외 신조어 넘쳐나는 신조어에 정신이 없는데요. 듣도 보도 못한 단어들이 방송매체를 통해서나 주위의 여러 채널을 통해서 들려옵니다. 그 중에 가장 많이 들리는 단어가 케미라는 말인 것 같습니다. 아래 이미지에도 나와 있지만 케미 뜻은 영어 Chemistry에서 따온 말이랍니다. "화학, 화학적 성질" 이런 뜻입니다. 보통 남녀간에 드라마 등에서 케미 돋는다 이런 말을 쓰게됩니다. 약간 웃기게도 네이버 검색하면 어학사전 부분에 아래처럼 나와있습니다. 아마도 남녀간에 서로 좋아하는 감정등이 생기면 화학반응이 일어나듯이 끌리는 현상을 말하는 듯 합니다. 요즘은 케미 대신 썸이란 말도 많이 쓰이는 것 같습니다. 썸은 대충 유추가 가능한 것 같습니다. 둘 사이에 뭔가(something)가 있다는 뜻에서 줄여서 썸이라고 하는 .. 2015. 9. 1. 아노미현상 Anomie 무규범상태 아노미(Anomie)현상 사회 심리학과 관련된 용어입니다. 아노미 즉 무규범상태라는 뜻입니다. 아노미현상 원인은 사회심리학 용어이니 사회와 관련이 있겠죠. 사회가 극심한 혼란에 빠지면 그 속에 기존하는 규범이나 도덕적인 가치관이 사라집니다. 너무 간단한 정의인가요? 아노미현상의 원인은 이란 이야기입니다. 조금 더 풀어서 이야기하면, 아노미현상의 원인은 사회가 해제되면서 그 안의 구성원을 규제할 수 있는 공통의 도덕 규범이나 가치관 등이 약해지게 됩니다. 여기까지가 원인입니다. 그러면 이런 상태로 인해서 그 구성원인 사람은 불안정해지고 여러가지 반사회적인 행동을 저지르기도 합니다. 이런 상태를 아노미상태라고 합니다. 이런 아노미현상은 대도시에서 많이 보여집니다. 기존의 가족단위의 가치관에 있던 구성원이 전.. 2015. 8. 15. 열역학 제2법칙과 열역학 제1법칙 그리고 엔트로피에 대해서 열역학 제2법칙 :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열역학 제1법칙 : The first law of thermodynamics 엔트로피 : Entropie(독일)에 관한 포스팅입니다. 먼저 엔트로피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 용어를 모르면 열역학에 대한 설명이 안됩니다. 엔트로피란 다시말해 '무질서도'라고 합니다. 즉 무질서한 정도를 이르죠. 엔트로피가 높다라는 말은 무질서하다는 뜻. 반대로 질서정연하다 질서있다는 것은 엔트로피가 낮다 무질서도가 낮다는 뜻이 되겠죠. 그리고 '고립된 계'라는 용어도 알아야 합니다. 이론상으로 에너지의 이동이 허용되지 않는 공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열역학 제2법칙 고립된 계에서는 엔트로피가 감소하지 않는다는 법칙입니다. 원칙도 아니고 무려 법칙입니다. .. 2015. 8. 12. 초끈이론(super-string theory)에 관하여 얼마 전 영화 인터스텔라에 많은 과학이론이 등장해서 이슈가 되었습니다. 블랙홀과 화이트홀, 중력장 등이 소재가 되어 우주공간과 시간의 개념이 지구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신비로운 요소로 다가온 영화였습니다. 그 중에 초끈이론과 관련된 장면도 있었습니다. 과거의 딸에게 아버지가 인류의 희망이 될 수 있는 메시지를 주는 장면입니다. 영화 스포일러가 될 수 있는 부분이라 여기까지만 이야기하겠습니다. 현재 과학계에는 인류가 풀지 못한 물리학적인 문제들이 많이 있습니다. 잘 알려진 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거시적인 관점에서의 상대성 이론과 미시적인 세계의 이론인 양자역학이 서로 상충되어 모순이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러한 모순된 이론을 보완하기 위해 1970년대에 등장한 이론이 바로 초끈이론입.. 2015. 8. 11. 스넬의 법칙 snell's law 빛의 반사와 굴절 스넬의 법칙(snell's law)이란 굴절의 법칙이란 말과 같습니다. 이름이 또 있네요 스넬-데카르트 법칙이라고도 합니다. 네덜란드의 빌러브로어트 스넬리우스의 이름을 딴 법칙이네요. 네덜란드이름이 친숙하지 않아서 부르기도 힘듭니다. 파동이 물이나 유리 등의 매질이 다른 물체를 통과하면서 생기는 굴절을 정리한 법칙이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흔히 물 속에 막대등을 넣어서 보면 막대가 굽어보입니다. 이것은 빛이 일으키는 굴절 때문에 그렇게 보이는 것입니다. 굴절은 파동의 진행속도 차이로 생기는 현상입니다. 위에서 예를 든 것 처럼 물속에 들어간 막대가 휘는 이유는 빛의 굴절 때문입니다. 물 굴절을 만들어 내는 것이죠. 다시말하면 빛이라는 파동이 (빛은 입자의 성질과 파동의 성질 두가지를 모두 가지고있죠) 물이.. 2015. 8. 10. 화씨 섭씨 변환 쉽게하기 화씨(FAHRENHEIT) - 절대온도라고도 합니다. F로 표기됩니다. 섭씨(CELCIUS) - 물의 빙점(현재는 바뀌었음)을 기준으로 하는 온도. C로 표기합니다. 화씨 섭씨 변환하는 법을 분명히 학창시절 배웠는데 기억이 가물가물합니다. 여러분은 기억하시나요? 이번 포스팅으로 화씨 섭씨 변환법을 확실히 기억해야겠습니다. 그전에 우선 화씨가 무엇이고 섭씨란 또 무엇인지 살펴보고 변환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화씨는 미국에서 주로 사용하는 온도단위입니다. 우리나라는 섭씨를 사용합니다. 단위가 달라서 변환법을 필히 알아야 합니다. 표준기압 하에서 물의 빙점은 화씨 32도입니다. 비등점은 화씨 212도가 되죠. 자세히 살펴보면 빙점과 비등점의 차이가 180도가 나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그래서 화씨 온도계를 .. 2015. 8. 9. 이전 1 2 3 4 5 6 다음